Agit
Sound, installation
2023
Sound, installation
2023


Installation view in group exhibition
Alorok Dalorok
at Goyang Aram municipal museum of art, South Korea
Installation view in group exhibition
Nodeul Island Cultural Complex Space Emerging Artist Competition
at Nodeul gallery, South Korea
at Nodeul gallery, South Korea
(kr)
<Agit(아지트)>는 나무의 삶을 우리의 ‘일상’에, 나무가 늙어가며 변화하는 색을 ‘일상에서 겪는 수많은 경험과 기억’에 빗대어, 평소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적인 장소에 담긴 사소한 경험과 기억을 사운드 설치로 구현한 작품이다.
안민옥과 김강산은 자연 색의 점진적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한다. 나무는 에이징이 되면서 점차 색이 변화한다. 작업에 선보인 나무는 너도밤나무이다.
너도밤나무는 순백색을 띠다가 점차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분홍빛을 띤다고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감정을 김강산은 가구 형태의 오브제로 구현하고, 안민옥은 하루하루가 쌓여 나이테가 만들어지는 나무의 변화를 우리가 겪는 매일의 사소한 경험으로 재해석해 사운드로 풀어냈다.
그렇게 나온 일상의 장소는, 마치 물 속을 유영하 듯 자유로운 감정을 일렁이게 하는 <이불 속>, 공간과 공간의 경계이자 작은 쉼터로서 땅의 울림을 전달하는 <턱진 곳>, 어린 시절 비밀 공간으로 환상을 품었던 <높은 곳>, 신호등이 바뀌길 기다리며 게임 속의 흥미로운 한 장면을 떠올리게 는하 <횡단보도>, 무심결에 흘러간 순간의 단편들이 담긴 <건조대>이다.
작업은 두 작가의 평소 의식하지 않던 장소를 주목해보고,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장소를 특별한 기억이 담긴 ‘아지트’로 변환시키고자 한다.
(en)
Agit is a sound installation that compares the life of
trees to our 'everyday life' and the changing colours of trees as they age to
the 'countless experiences and memories we have in our daily lives', and
captures the trivial experiences and memories of everyday places that we
usually pass by without thinking.
An Minok and Kim Gangsan work on about the gradual change of natural colours. Trees gradually change colour as they age. The wood used in the work is beech.
Beech wood is pure white in colour, but it gradually becomes pinkis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emotions that change over time are embodied in the form of furniture objects by Kim Gangsan, while An Minok reinterprets the changes in the wood that accumulate day by day, and translates them into sound as the trivial experiences we go through every day.
The resulting everyday places are In A Duvet, which evokes free emotions as if swimming in water; Berm, which conveys the sound of the ground as a boundary between space and space and a small shelter; A High Place, which was fantasised about as a secret space in childhood; Crosswalk, which reminds us of an interesting scene in a game while waiting for the traffic light to change; and Drying rack which contains fragments of moments that have passed by without thinking.
The work aims to draw attention to places that the artists don't usually pay attention to, transforming the places we encounter every day into ‘ Agit ’ that contain special memories.
안민옥과 김강산은 자연 색의 점진적 변화에 대해 이야기 한다. 나무는 에이징이 되면서 점차 색이 변화한다. 작업에 선보인 나무는 너도밤나무이다.
너도밤나무는 순백색을 띠다가 점차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분홍빛을 띤다고 한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감정을 김강산은 가구 형태의 오브제로 구현하고, 안민옥은 하루하루가 쌓여 나이테가 만들어지는 나무의 변화를 우리가 겪는 매일의 사소한 경험으로 재해석해 사운드로 풀어냈다.
그렇게 나온 일상의 장소는, 마치 물 속을 유영하 듯 자유로운 감정을 일렁이게 하는 <이불 속>, 공간과 공간의 경계이자 작은 쉼터로서 땅의 울림을 전달하는 <턱진 곳>, 어린 시절 비밀 공간으로 환상을 품었던 <높은 곳>, 신호등이 바뀌길 기다리며 게임 속의 흥미로운 한 장면을 떠올리게 는하 <횡단보도>, 무심결에 흘러간 순간의 단편들이 담긴 <건조대>이다.
작업은 두 작가의 평소 의식하지 않던 장소를 주목해보고, 우리가 매일 마주하는 장소를 특별한 기억이 담긴 ‘아지트’로 변환시키고자 한다.
(en)
An Minok and Kim Gangsan work on about the gradual change of natural colours. Trees gradually change colour as they age. The wood used in the work is beech.
Beech wood is pure white in colour, but it gradually becomes pinkis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emotions that change over time are embodied in the form of furniture objects by Kim Gangsan, while An Minok reinterprets the changes in the wood that accumulate day by day, and translates them into sound as the trivial experiences we go through every day.
The resulting everyday places are In A Duvet, which evokes free emotions as if swimming in water; Berm, which conveys the sound of the ground as a boundary between space and space and a small shelter; A High Place, which was fantasised about as a secret space in childhood; Crosswalk, which reminds us of an interesting scene in a game while waiting for the traffic light to change; and Drying rack which contains fragments of moments that have passed by without thinking.
The work aims to draw attention to places that the artists don't usually pay attention to, transforming the places we encounter every day into ‘ Agit ’ that contain special memories.